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출입과 채광, 환기, 조망 등을 위하여 건물의 벽면에 낸 개구부에 설치한 창과 문.
[개설]
창문(窓門)은 창(窓)과 문(門)의 복합어인데, 비슷한 용어로 창과 호(戶)의 복합어인 창호(窓戶)가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문은 대문이나 중문, 판문 등과 같이 주로 외부와 외부 공간 사이에 설치된 출입 시설을 의미하며, 호는 내부와 외부, 또는 내부와 내부 사이에 설치된 출입 시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엄밀히 따져서 창문과 창호는 약간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거의 같은 의미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문헌 기록에서 창문이라 표기한 예는 『중종실록』을 비롯한 일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을 뿐이며,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창호로 표기되어 있다. 창과 호의 복합어인 창호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우리나라 건축에서 창과 호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창과 호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창호는 개폐 방법, 창호의 형태와 살대의 모양, 사용 위치 및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창호는 개폐 방법에 따라 여닫이와 미닫이, 미서기 및 들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건축에서 볼 수 있는 특수한 개폐 방식으로 분합문과 안고지기를 들 수 있다. 분합문은 세 짝, 네 짝, 여섯 짝, 여덟 짝으로 이루어지는데, 평상시에는 모두를 닫아놓고 두 짝만을 여닫아 출입을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모든 문짝을 포갠 다음 위로 젖혀 올릴 수 있는 들어열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안고지기는 미닫이와 여닫이를 결합하여 만든 창호이다.
창호는 사용된 재료와 형태에 따라 전체를 나무로 만든 판문과 골판문, 살대만 세워 만들어 통풍이 될 수 있도록 만든 살창, 살대를 만든 위에 창호지를 붙여 만든 창호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살대의 무늬는 띠[細]살, 용(用)자살, 만(卍)자살, 숫대살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내용 및 특징]
한국 건축의 창호는 다른 어느 나라의 건축에 비하여 개폐 방식과 형태가 다양하다. 특히 분합문은 한국 건축의 창호가 지닌 특성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출입문, 벽, 창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들어열개를 하여 두 개의 공간을 완전히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한국 건축의 창호는 매우 복합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창호를 통하여 두 개의 공간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되기도 하며, 나누어지기도 하는 가변적인 공간이 만들어진다. 또한 외기(外氣)에 면한 창호는 반드시 두 겹 이상으로 만들며, 고급 건축에서는 세 겹, 또는 네 겹으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여러 겹으로 만들어진 창호는 계절에 따라 창호를 열고 닫아 실내의 환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변천]
창호는 건축의 출현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 선사시대 움집에서는 간단한 구조와 형태로 출입을 위한 문을 두었는데, 이 문은 남쪽 방향으로 설치하여 채광과 환기의 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창호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의 건축에서는 판문과 골판문 및 살창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양한 형태의 살대를 만들고 그 위에 창호지를 붙인 창호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형성된 창호 형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
창호는 출입과 채광, 환기, 조망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국 건축의 창호는 그 개폐 방법과 형태가 다른 어떤 나라의 건축에 비해 다양하다는 특성을 지닌다. 특히 한국 건축의 창호는 매우 복합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 건축의 공간이 매우 가변성을 지니도록 만든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