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중세 국어에서 청탁(淸濁)을 기준으로 초성을 구분할 때, 오늘날의 거센소리 계열에 해당하는 ‘ㅋ, ㅌ, ㅍ, ㅊ, ㅎ’ 등을 이르던 말.
[개설]
차청(次淸)은 현대 국어의 거센소리 곧 격음(激音)에 해당한다. 『훈민정음』에서는 초성을 소리의 청탁에 따라 전청(全淸)·차청·전탁(全濁)·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한 종류이다.
[내용 및 특징]
차청은 ‘전청에 버금가게 맑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의 초성 17자 가운데 ‘ㅋ, ㅌ, ㅍ, ㅊ, ㅎ’ 등이 여기에 속하였다[『세종실록』 29년 9월 29일]. 차청은 현대 국어의 격음, 곧 거센소리에 해당한다. 중세 국어의 차청 계열음들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구성되었다.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에 따르면, 차청음 즉 유기음에는 ‘ㅋ, ㅌ, ㅍ, ㅊ, ㅎ’이 있는데,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의 평음 즉 전청음 중에서 각각 하나가 차청음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전청음은 ‘ㄱ, ㄷ, ㅂ, ㅅ, ㅈ, ㆆ’ 등이므로, 당시 치음에 함께 속해 있던 ‘ㅅ’과 ‘ㅈ’ 중 ‘ㅈ’만이 차청을 취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일반적으로 파열음과 파찰음의 평음들이 유기 자질의 ‘ㅎ’과 결합하여 파찰음을 이루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ㅋ’은 ‘ㄱ+ㅎ’으로 연구개파열음인 ‘ㄱ’에 유기 자질을 갖춘 ‘ㅎ’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소리이며, 파찰음인 ‘ㅊ’은 ‘ㅈ+ㅎ’으로 이루어진 소리이다. 그런데 ‘ㅅ’은 마찰음이어서 같은 마찰음인 ‘ㅎ’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치음에서는 ‘ㅅ’과 ‘ㅈ’ 중 ‘ㅈ’만 차청음으로 선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평음에 비해 유기음 즉 차청음은 잘 쓰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중세와 근대를 지나면서 어두의 평음이 유기음으로 변하는 유기음화(有氣音化)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차청음의 출현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갈[刀]→칼, [臂]→, 곻[鼻]→코, 불무→풀무, 고키리[象]→코끼리’ 등의 변화에서 통시적인 유기음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