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차청(次淸)

서지사항
항목명차청(次淸)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청음(淸音)
관련어전청(全淸), 전탁(全濁), 불청불탁(不淸不濁)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중세 국어에서 청탁(淸濁)을 기준으로 초성을 구분할 때, 오늘날의 거센소리 계열에 해당하는 ‘ㅋ, ㅌ, ㅍ, ㅊ, ㅎ’ 등을 이르던 말.

[개설]
차청(次淸)은 현대 국어의 거센소리 곧 격음(激音)에 해당한다. 『훈민정음』에서는 초성을 소리의 청탁에 따라 전청(全淸)·차청·전탁(全濁)·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한 종류이다.

[내용 및 특징]
차청은 ‘전청에 버금가게 맑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의 초성 17자 가운데 ‘ㅋ, ㅌ, ㅍ, ㅊ, ㅎ’ 등이 여기에 속하였다[『세종실록』 29년 9월 29일]. 차청은 현대 국어의 격음, 곧 거센소리에 해당한다. 중세 국어의 차청 계열음들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구성되었다.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에 따르면, 차청음 즉 유기음에는 ‘ㅋ, ㅌ, ㅍ, ㅊ, ㅎ’이 있는데,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의 평음 즉 전청음 중에서 각각 하나가 차청음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전청음은 ‘ㄱ, ㄷ, ㅂ, ㅅ, ㅈ, ㆆ’ 등이므로, 당시 치음에 함께 속해 있던 ‘ㅅ’과 ‘ㅈ’ 중 ‘ㅈ’만이 차청을 취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일반적으로 파열음과 파찰음의 평음들이 유기 자질의 ‘ㅎ’과 결합하여 파찰음을 이루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ㅋ’은 ‘ㄱ+ㅎ’으로 연구개파열음인 ‘ㄱ’에 유기 자질을 갖춘 ‘ㅎ’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소리이며, 파찰음인 ‘ㅊ’은 ‘ㅈ+ㅎ’으로 이루어진 소리이다. 그런데 ‘ㅅ’은 마찰음이어서 같은 마찰음인 ‘ㅎ’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을 만들어 낼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치음에서는 ‘ㅅ’과 ‘ㅈ’ 중 ‘ㅈ’만 차청음으로 선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평음에 비해 유기음 즉 차청음은 잘 쓰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중세와 근대를 지나면서 어두의 평음이 유기음으로 변하는 유기음화(有氣音化)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차청음의 출현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갈[刀]→칼, [臂]→, 곻[鼻]→코, 불무→풀무, 고키리[象]→코끼리’ 등의 변화에서 통시적인 유기음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훈민정음(訓民正音)』
■ 『동국정운(東國正韻)』
■ 박종국, 『훈민정음』, 정음사, 1976.
■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6.
■ 이기문, 『國語史槪說』(新訂版), 태학사, 1998.
■ 이영월, 「훈민정음 초성체계 재해석」, 『中國學硏究』42, 2007.

■ [집필자] 최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