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차정(差定)

서지사항
항목명차정(差定)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차임(差任), 차출(差出), 차하(差下)
관련어차(差), 충차(充差)
분야정치
유형법제 정책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이조에서 무록관, 제관 등을 정식의 제수절차를 밟지 않고 간단하게 임명한 인사제도.

[개설]
차정은 이조(吏曹) 문선사(文選司)에서 담당하는 업무 중의 하나였다. 그러면서도 이 용어는 특정한 직에 ‘임명한다’라는 뜻의 일반 명사로 더욱 널리 쓰였다. 여기서 특정한 직은 정직 중의 특수직이 아니라 보통 녹사(錄事)와 성중관 등 무록관(無祿官)이나 제관(祭官) 등 임시직, 군병이나 장교, 국역 담당자 등을 말하며 나아가서 민간에서의 공무 담임자도 포함되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차(差)는 사람이나 물건을 ‘가리다’ 혹은 ‘선택하다’라는 뜻으로, 차정은 관원의 임명을 의미하였다. 도목정(都目政)이나 산정(散政)의 정식 임용 절차를 거쳐 제수되는 것이 아니라, 공무를 임시로 담당할 적임자를 선발하는 제도였다. 따라서 그 역할이 끝나면 자동으로 면직되거나 전보되었다.

[내용]
차정은 임시 관직에 적임자를 뽑아 정한다는 말이었다. 『경국대전』 「이전」 차정조에는 “무릇 차정해야 할 자는 녹명(祿名)하여 왕에게 아뢰었다. 향관(享官) 3품 이하 및 아전(衙前)은 아뢰지 아니한다.” 하였다. 따라서 차정은 녹봉을 지급 받는 임시 관원을 임명할 때 사용하는 법률 용어였다.

차정 절차는 이조에서 후보자를 선발하여 왕에게 보고하면, 적임자를 낙점하여 서경(署經)을 거쳐서 교지를 내렸다. 그러나 향관 3품 이하, 곧 3품 이하의 임시직과 서리 이하는 왕에게 아뢰지 않고 이조에서 차정할 수 있었다.

[변천]
차정의 용례는 “혜민국(惠民局)과 제생원(濟生院)에는 제거(提擧)별좌(別坐) 중 1명과 겸승(兼丞) 1명을 박학(博學)하고 강정(剛正)하며 근근(勤謹)한 문사로 차정하라[『세종실록』 16년 7월 25일]”라든가, “새로 급제한 자를 분관(分館)할 때에 이조로 하여금 나이 젊고 글씨 잘 쓰는 자를 골라서 차정하게 하라[『세종실록』 22년 1월 10일], “사직과 종묘에 섭행하는 큰 제사의 천조관(薦俎官)·종헌관(終獻官)은 모두 참의(參議) 이하, 부제학(副提學) 이상의 당상관으로 낙점을 받아 차정하소서[『세종실록』 14년 7월 24일]” 한 것들을 들 수 있다. 관직의 유무를 불문하고, 임시직이나 특수한 역할을 담당할 적임자를 선발한다는 용어로 주로 쓰였다.

그렇기 때문에 『속대전』 등 법전의 차정 조에는 특정 직임에 선발할 관원의 자격 기준을 규정해 놓았다. 왕이 친림하여 시학(視學)할 때 강서관(講書官)의 자격이라든가, 절사(節使)를 영위(迎慰)하는 임무는 종반(宗班)으로 차정하지 말도록 한 것 등이었다. 후자는 후에 대신이 유고(有故)면 종친과 의빈(儀賓) 및 2품 이상을 추천하여 임명하도록 하였다. 또한 형조 및 주원(廚院)의 낭청은 대제(大祭) 외에는 제관으로 차출하지 말도록 하였다.

차정 대상을 미리 정해 놓은 규정도 있는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소재하는 각 능전(陵殿)의 헌관과 집사, 참봉 가관(假官)의 대상에 관한 규정을 들 수 있다. 위법에 대한 처벌 조항도 수록되었는데, 각 능은 예조(禮曹)의 차첩(差帖) 없이 사사로이 대신 수직(守直)하면, 담당 관원과 대신 수직한 사람 모두 제서유위율(制書有違律), 즉 제서(制書)에 적힌 왕의 명령을 어긴 행위를 처벌하던 법규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차정된 인원에게는 이조에서 차첩을 발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노비(奴婢)와 근수노(跟隨奴) 등의 차정에 관한 사항도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차정은 일반 명사로서 신분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집필자] 임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