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진향사(進香使)

서지사항
항목명진향사(進香使)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국상(國喪), 진위사(陳慰使)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비정기적인 사절로, 중국에 국상(國喪)이 나면 향과 제문(祭文)을 가지고 가던 사절.

[내용]
조선시대에 중국의 황실에 상사(喪事)가 났을 때 제문과 제폐(祭幣)를 가지고 가서 조의(弔意)를 표하게 하던 사절이다. 대개 진위사(陳慰使)와 함께 파견되었다. 진위사와 함께 파견되면 정사는 진위사, 부사는 진향사가 되고, 1명의 서장관이 진위·진향을 겸임하는 것이 상례였다. 이 밖의 종사관 및 통사 그리고 의원·사자관·화원과 노자 등을 합하여 일행은 대개 40여 명이었다. 이 사절이 휴대하는 문서는 진향제문(進香祭文)과 위로하는 전문(箋文), 예부로 보내는 자문(咨文) 등이었다.

[용례]
改計稟使偰長壽爲進香使 同金士衡 河崙入朝 初 長壽至婆娑鋪 遼東都司以非三年一聘之期不納 長壽還至義州 移書左政丞趙浚曰 請每年朝聘事 宜更奏聞 否則於陳慰 進香使差遣 於是 啓爲進香使[『정종실록』 1년 1월 9일]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통문관지(通文館志)』
■ 『동문휘고(同文彙考)』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송희, 「조선초기 대명외교에 대한 연구-대명사신과 명 사신 영접관의 성격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55·56, 1998.
■ 박성주, 「조선초기 遣明 使節에 대한 一考察」, 『경주사학』 19, 경주사학회, 2000.
■ 박성주, 「高麗·朝鮮의 遣明使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집필자] 박성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