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비정기적인 사절로, 조선시대에서 중국 황실에 경사가 있을 때에 축하의 뜻으로 보내던 사절(使節).
[내용]
진하사는 중국의 황제가 등극하거나[賀登極使], 황후를 책봉하거나 또는 황태자를 세우는 건저(建儲) 등의 길사(吉事)를 하례하기 위하여 파견할 때, 그 밖에도 중국에서 반란을 토벌하거나 평정하였을 경우에도 파견된 사절이다. 사절의 구성은 정사·부사·서장관·통사·의원·사자관·화원·노자(奴子) 등으로 이루어졌다. 사은사와 같이 각종 방물을 진헌하였다. 정사는 정2품 중에서 선발하여 정1품의 관직을 주어 파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