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중각(中角)

서지사항
항목명중각(中角)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각(角)
관련어노부(鹵簿), 대각(大角), 소각(小角), 취각(吹角), 취라치[吹螺赤]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각(角)의 한 종류. 군영에서 밤에 신호할 때 좌군(左軍)이 연주하는 악기이자 법가노부와 소가노부에 진설하여 연주하는 악기.

[내용]
중각(中角)은 각의 한 종류이다. 각은 고대부터 지휘·통신에 사용한 단음(單音) 관악기로 크기에 따라 대각(大角)·중각·소각(小角)의 세 종류가 있다. 중각은 대각보다 크기가 조금 작다. 대구(大口)는 황동(黃銅)이나 쇠뿔로 만들고, 자루는 나무로 만들어 붉은 색으로 칠한다.

[용례]
今有大角 以銀爲之 又以木爲之 漆以朱 或漆以黑 中角 制同而差小 角以黃銅鍍金爲之 或用牛角而以木爲柄 漆以朱[『세종실록』 오례 군례 서례 병기]

[참고문헌]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 세악수 내취』, 태학사, 2007.

■ [집필자] 이숙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