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죽책(竹冊)

서지사항
항목명죽책(竹冊)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책(冊)
관련어금책(金冊), 시책(諡冊), 시호(諡號), 애책(哀冊), 옥책(玉冊), 왕세손(王世孫), 왕세손빈(王世孫嬪), 왕세자(王世子), 왕세자빈(王世子嬪), 존호(尊號), 죽책(竹冊), 책봉(冊封)
분야교육 출판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왕세자, 왕세자빈, 왕세손, 왕세손빈 등의 책봉을 비롯해 시호를 내리거나 존호를 올리는 의식에 사용하던 대나무로 제작한 책(冊).

[내용]
죽책은 왕세자, 왕세자빈, 왕세손, 왕세손빈 등의 책봉의식이나 시호를 내릴 때, 혹은 존호를 올릴 때 사용하던 의물(儀物)이다. 왕, 왕비의 책과 등급을 구분하여 대나무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죽책이라고 한다. 조선후기에는 왕의 사친인 후궁의 존호를 올리거나 시호를 올릴 때에 죽책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용례]
冊封元子湍爲王世子 年十四歲也 上出御隆政殿 命近臣宣敎命 又授竹冊[『인조실록』 3년 1월 27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국립전주박물관, 『朝鮮時代古文書』, 1993.
■ 최승희, 『(증보판)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 [집필자] 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