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죽간자(竹竿子)

서지사항
항목명죽간자(竹竿子)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의물(儀物)
동의어희죽(戱竹)
관련어당악정재(唐樂呈才), 정재(呈才)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당악정재(唐樂呈才)를 상연할 때, 무용수의 입장과 퇴장을 인도하는 사람이 들던 대나무 장대로 대나무 열매가 위에 달린 모양의 의물.

[개설]
희죽(戱竹)이라고도 한다. 궁중무용인 당악정재를 공연할 때 죽간자(竹竿子)를 각각 든 2명은 선두에 서서 무용수를 인솔하였고, 춤이 시작되면 춤의 내용을 알리는 구호를 외치고, 춤이 끝날 때는 마친다는 구호를 외쳤다[『세종실록』 10년 5월 26일].

[연원 및 변천]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따르면, 죽간자는 당악정재인 헌선도(獻仙桃)·수연장(壽延長)·오양선(五羊仙)·포구락(抛毬樂)·연화대(蓮花臺) 정재 등에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금척(金尺)·수보록(受寶籙)·근천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하성명(賀聖明)·성택(聖澤)·육화대(六花隊)·곡파(曲破) 등의 당악정재에도 빠짐없이 사용되었으며, 이례적으로 향악정재인 봉래의(鳳來儀)에 쓰이기도 하였다.

[형태]
죽간자의 형태는 『악학궤범(樂學軌範)』 「당악정재 의물도설(儀物圖說)」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죽간자의 자루는 대나무로 만들어 붉은색 칠을 하고 쪼갠 등나무 줄기를 감았으며, 아랫부분에는 납물을 들인 쇠로 장식을 하였다. 대나무 머리를 조각하여 자루의 상단에 씌운 다음, 가는 대나무 100개를 대나무 머리 위에 꽂은 뒤 모두 붉은 칠을 하고 붉은 실로 묶었다. 대나무마다 끝부분 1치쯤을 금박지로 싼 후 수정 구슬을 꿰어 달았다. 수정 구슬에서 대나무 머리까지의 길이가 2자 8치, 나무 머리에서 자루 끝까지의 길이가 7척 7촌이며, 대나무의 굵기는 지름 1치였다.

한편 1828년(순조 28)의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에 따르면 죽간자 1쌍의 제작비는 21냥 2전이었는데, 1902년(광무 6)의 『(임인)진연의궤』에는 40냥으로 기록되었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죽간자는 태평성대에만 나타난다는 봉황을 불러들이기 위한 상징물이었다. 봉황은 대나무 열매만 먹는데, 그 열매의 크기가 큰 구슬만 하다고 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악학궤범(樂學軌範)』
■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
■ 『고종임인진연의궤(高宗壬寅進宴儀軌)』
■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 [집필자] 조경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