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주취칠적관(珠翠七翟冠)

서지사항
항목명주취칠적관(珠翠七翟冠)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적관(翟冠), 적의(翟衣)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왕비가 예복인 적의(翟衣)와 함께 쓰던 관(冠).

[내용]
1403년(태종 3) 10월, 중국에서 칠적관을 보내와서, 황후는 구적관을 쓰고 왕비는 칠적관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칠적관은 주취(珠翠)로 장식한 것으로,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중국에서 하사받았다. 그러나 1645년(인조 23) 7월에 있었던 빈궁의 책례(冊禮) 때는 적관 제도를 몰라 다리[月子]로 머리장식을 만들어 성례(成禮)를 하였다[『인조실록』 23년 7월 6일].

[용례]
王父金段 紵絲 紗羅共一十匹內 金紵絲二匹 素紵絲二匹 織金羅一匹 素羅二匹 織金紗一匹 素紗二匹 王妃冠服一部 珠翠七翟冠一頂[『태종실록』 3년 10월 27일]

[참고문헌]
■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2001.

■ [집필자] 최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