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주종소(鑄鍾所)

서지사항
항목명주종소(鑄鍾所)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편경(編磬)
분야문화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1429년(세종 11)에 편경(編磬)을 주조하기 위해 한양에 설치한 기구.

[내용]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9년 예조에서 주종소(鑄鐘所)를 제의하는 상소문을 올렸고, 이에 한양에 주종소를 두고 편경을 만들어 주로 아악에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 기록에 따르면, 1429년에 설치된 주종소에서 제작한 편종을 악학 제조 유사눌(柳思訥)이 1430년(세종 12) 7월에 왕에게 헌정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악학 별좌 남급(南汲)이 조회에서 사용할 편종을 올렸다. 또한 이듬해인 1431년(세종 13)에는 회례연에서 사용할 편종을 제작하였다. 주종소에서 편종을 제작할 때 참여한 신하들은 대부분 음악 이론과 역사 연구를 전담하는 악학 소속의 관리들이었다. 이 때문에 주종소의 편종 제작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용례]
其體厚聲高者 猶可磨正用之 若過薄聲下及穿缺裂破者 雖或改正 未易充數 請置鑄鍾所 依法鑄成[『세종실록』 11년 2월 8일]

[참고문헌]
■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 [집필자] 이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