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조전(祖奠)

서지사항
항목명조전(祖奠)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제사
관련어국상(國喪), 도신(道神)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식 행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상 때 발인하기 전 도신(道神)에게 지내는 제사.

[내용]
조전은 계빈(啓殯) 후 재궁을 외전으로 모신 후 지낸다. 조전은 길의 안전을 담당하는 도신에게 능지까지 안전하게 무사히 갈 수 있도록 기원하기 위한 것이다.

조전은 국상 때 발인하기 전에 행한다. 당일 액정서에서는 빈전 문 밖의 동쪽에 설치하고 영좌 앞에 예찬(禮饌)을 올리며, 그 앞에 향로와 향합, 초를 진설하고 축문을 올리며, 문 밖에 술잔을 차려놓고 지낸다.

조전에는 왕과 대군, 문무백관이 참여해 행한다. 좌통례(左通禮)의 집례에 따라 왕과 대군, 문무백관이 ‘궤(跪)·부복(俯伏)·곡(哭)’을 하고 나면, 국왕을 대신하여 대전관(代奠官)이 향과 술을 연달아 세 번 향을 올리고 이어 대축(大祝)이 축문을 읽는다. 독축이 끝나면 좌통례의 제청에 따라 국왕과 대군 이하가 곡을 하며 애도를 극진히 한다. 곡을 마치면 국왕은 좌통례의 인도를 받아 잠시 여차(廬次)에 나아가며, 대군 이하는 인의(引儀)의 안내로 막차(幕次)에 돌아가고, 종친과 문무백관도 차례로 나가면, 내시가 축문을 화로에 불사른다.

[용례]
行啓殯奠于殯殿 乃啓殯 日晡時又行祖奠[『세종실록』 2년 9월 15일].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예기(禮記)』

■ [집필자] 정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