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적개공신(敵愾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적개공신(敵愾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관련어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이시애의 군사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세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467년(세조 13) 이시애 주도 하에 발생한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책봉된 공신이었다. 반란이 진압된 뒤인 1467년 9월 20일에 44명의 적개공신이 책봉되었다. 1등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이라 하였으며 이준·강순·남이 등 10명이었다.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으로 불린 2등은 김국광·허유례·이운로 등 23명이었으며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으로 불린 3등은 이부·이종·한계미 등 11명이었다.

[용례]
敵愾功臣等來謝恩 命賜白金 一等功臣 五十兩 二等 二十五兩 三等 十兩 又各賜衣一襲 馬一匹[『세조실록』 13년 9월 21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