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조호장(正朝戶長)

서지사항
항목명정조호장(正朝戶長)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상계리(上計吏), 섭호장(攝戶長), 안일호장(安逸戶長)
분야사회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에 각 지방 관아의 향리를 은퇴한 후 자신의 지역을 대표하여 정초에 국가의 조회에 참여하던 호장.

[개설]
정조호장(正朝戶長)의 ‘정조(正朝)’는 ‘정초에 조회에 참여한다’는 의미이고 ‘호장(戶長)’은 향리의 수장(首長)을 가리킨다. 즉, 정조호장은 그 지역을 대표하여 정초에 왕의 조회에 참여하는 자격을 가진 호장이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정조호장은 정초에 예궐숙배(詣闕肅拜)하는 직무에서 연원된 것으로 국가의 경조사 때에 군현을 대표해 상경하여 숙배했다. 고려시대에는 상계리(上計吏)의 구실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직 및 역할]
성종대에는 향리직을 격려하는 의미에서 포장(褒奬)의 뜻으로 은퇴한 향리에게 각 지방 관아에서 진성(陳省)을 올려 섭호장(攝戶長), 정조호장(正朝戶長), 안일호장(安逸戶長) 등의 직첩을 주도록 규정하였다[『성종실록』 2년 5월 25일]. 이는 『경국대전』에도 그대로 수록되었다.

[변천]
조선중기 이후 정조호장은 형식적인 직임에 지나지 않으니 일시적으로 폐지하자는 주장도 있었다[『영조실록』 20년 7월 1일]. 이후 영조와 정조는 조회하러 온 정조호장을 직접 불러 권농과 진휼, 폐단 등을 묻는 등 백성들의 목소리를 들으려고 노력하였다[『영조실록』 37년 1월 3일] [『정조실록』 4년 1월 1일].

[참고문헌]
■ 이훈상, 『조선 후기의 향리』, 일조각, 1990.
■ 김준형, 「조선시대 향리층 연구의 동향과 문제점」, 『사회와역사』27, 1991.
■ 김필동, 「조선 후기 지방 이서 집단의 조직 구조(上): 사회사적 접근」, 『한국학보』28, 1982.
■ 김필동, 「조선 후기 지방 이서 집단의 조직 구조(下): 사회사적 접근」, 『한국학보』29, 1982.
■ 이성무, 「조선 초기의 향리」, 『한국사연구』5, 1970.
■ 이수건, 「조선조 향리의 일연구: 호장(戶長)에 대하여」, 『(영남대학교)문리대학보』3, 1974.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