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조선시대에 3년마다 중앙과 지방 문·무관의 출신(出身)과 내력(來歷)을 기록한 문안(文案).
[내용]
조선시대에는 문무 관원의 명단이면서 그들의 여러 인적 사항이 기록된 정안(政案)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도 정안이 있었으나, 조선 건국 이후인 1395년(태조 4)에 다시 정안법이 시행되었다. 정안을 작성하는 본래 목적은 관료 임용의 참고 자료로써 임용 대상자의 출신·이력·상벌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안은 도목정사(都目政事) 때에 중요한 인사 근거 자료가 되었다. 3년마다 중앙과 지방의 관원은 그의 출신과 경력을 상세히 기록하여 문신은 이조(吏曹)에, 무신은 병조(兵曹)에 제출하면 이조와 병조에서는 정안에 등록하도록 『경국대전』에 규정되어 있다. 공신의 적장(嫡長) 자손은 정안에 공신 등급과 함께 아무개의 자손이라고 기록하여 대우하였다. 관원이 허물을 저질렀을 때 그 과오(過誤)를 별지에 써서 정안에 붙여두던 것을 ‘표부과명(標付過名)’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