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난공신(定難功臣)

서지사항
항목명정난공신(定難功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推誠保社佑世定難功臣), 추성보사정난공신(推誠保社定難功臣),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
관련어이과(李顆)의 역모(逆謀)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이과의 역모를 평정한 공로로 중중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507년(중종 2) 8월 25일 밤 4경에 전 우림위 노영손이 승정원에 고변하였는데, 정국공신에 책봉되지 못한 이과(李顆)·종친 이찬·윤귀수·김잠·손유 등이 불만을 품고 박원종과 성희안을 제거한 후 견성군을 왕으로 추대하려 하였으며 주모자는 이과라고 하는 내용이었다. 옥사가 마무리된 같은 해 9월 2일에 22명의 정난공신이 책봉되었다. 1등은 추성보사우세정난공신(推誠保社佑世定難功臣)이라 하였는데 노영손·유순·박원종 등 5명이었다. 추성보사정난공신(推誠保社定難功臣)이라 불린 2등은 민효증·이계남·홍경주 등 5명이었으며,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이라 불린 3등은 설맹손·홍숙·안당 등 12명이었다.

그런데 정난공신에 대한 비난이 책봉 직후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고변자인 노영순을 제외한 사람들을 공신에 책봉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비판의 초점이었다. 결국 정난공신이 책봉된 지 10년 후에는 노영신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공신에서 삭제되기에 이르렀다.

[용례]
上御勤政殿 行定難功臣分軸 宴用女樂[『중종실록』 2년 11월 30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