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저포(苧布)

서지사항
항목명저포(苧布)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저(苧), 저마포(苧麻布)
관련어구승포(九升布), 면포(綿布), 백저포(白紵布), 상포(常布), 세포(細布), 십승포(十升布), 오승포(五升布), 저마(苧麻), 저포(紵布), 정포(正布), 추포(麤布), 포목(布木)
분야생활 풍속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모시풀, 즉 저마(苧麻) 껍질의 섬유로 짠 직물.

[개설]
저포는 흔히 모시라고 하며 저(苧)·저마포(苧麻布)로도 불린다. 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옷감으로서 원래는 담록색을 띠지만 정련·표백하여 하얗게 만든다. 질감이 깔깔하고 촉감이 차가우며, 빨리 말라 여름철 옷감으로 많이 이용된다.

[연원 및 변천]
문헌상으로 저포는 869년(신라 경문왕 9) 30승저삼단(三十升紵衫段)이 생산되어 당나라에 보내졌다는 기록이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한다. 고려시대에는 무역에 주로 사용되던 백저포(白紵布)를 비롯해 세저포(細紵布)·사저포(紗紵布)·문저포(紋紵布) 등이 생산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저마·구승백저포·십승백저포·십이승백저포·별승백저포·극상세저포·극세저포·상저포·흑저포·황저포·황세저포·자세저포·청저포·아청저포·예단백저포·진헌백저포 등 다양한 저포가 기록에 등장한다. 이 중 일반적인 상거래나 조세 납부에 사용된 것은 정포(正布)라고 불리는 5승포였으며, 고가의 9승포나 10승포는 대부분 외교적인 업무에 사용되었다.

[형태]
저포의 품질은 승수(升數)로 평가하는데, 한 폭에 날실 80올로 직조된 것을 1승이라고 한다. 저포 5승포가 고려후기부터 교환화폐로서 기능하였고 조선시대에는 5승포에 길이 35척을 정포(正布)로 규정하여 전세를 수취하였으며, 10승 저포도 직조되어 공물로 납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저포 납부가 백성에게 큰 부담이 되자, 저포 대신 돈으로 납부하는 대전납(代錢納)의 형태로 대부분 변화하였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중기까지는 다양한 저포 생산지가 언급되지만 후기에 이르면 저포 생산지를 이른바 ‘저산칠읍(苧産七邑)’ 혹은 ‘저산팔읍(苧産八邑)’으로 일컬었는데 모두 충청도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한산·서천·비인·남포·부여·임천·홍산·정산 등이 포함되었는데, 이 고을을 중심으로 5일장이 서고 한때 막강한 보부상단도 조직되었다. 하지만 말기에는 한산만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서천군 한산면에서는 매년 한산모시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경국대전(經國大典)』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이재룡, 『조선전기 경제구조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9.
■ 박평식, 「조선초기의 화폐정책과 布貨流通」, 『동방학지』15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유교성, 「忠淸右道 産八區 商務社右社-이조 말기 보부상의 조직과 기능에 대한 일고찰」, 『역사학보』10, 1958.
■ 유교성, 「忠淸右道 苧産八區 商務社左社-李朝負商의 연구」, 『역사학보』17·18합집, 1962.

■ [집필자] 송양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