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장전(長箭)

서지사항
항목명장전(長箭)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점강전(點鋼箭)
관련어『무비지(武備志)』, 명효전(鳴髇箭), 월아전(月牙箭), 유엽전(柳葉箭), 수전(袖箭), 통전(筒箭)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중국에서 사용하던 화살의 한 종류.

[내용]
『무비지』에 점강전(點鋼箭), 명효전(鳴髇箭), 월아전(月牙箭), 유엽전(柳葉箭) 등의 화살이 실려 있는데, 점강전이 장전이다. 유엽전은 상전(常箭)이다. 그리고 수전(袖箭)과 통전(筒箭)도 기록되어 있다. 수전은 화살이 짧고 촉이 무거워 소매에서 홀연히 발사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사용법이 자세하지 않다. 통전은 화살이 작고 대나무 통에 넣어 발사하는 것인데, 조선의 편전(片箭)에 해당한다.

[용례]
兵曹啓 武科專尙武藝 考其近年試取給分之數 初場片箭二百四十步 比長箭差易 故長箭不能者 於片箭得分 中場弄槍 以芻人三分 立左右試二次 每一中面者給七分 六中者得分四十二 給分過多[『세종실록』 8년 5월 4일]

[참고문헌]
■ 『무비지(武備志)』
■ 『융원필비(戎垣必備)』
■ 강신엽, 『조선의 무기』Ⅰ·Ⅱ, 봉명, 2004.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