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장전(長田)

서지사항
항목명장전(長田)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역전(驛田)
관련어역리위전(驛吏位田), 역리전(驛吏田), 참리전(站吏田)
분야경제
유형법제 정책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역장(驛長)에게 절급한 전지(田地).

[내용]
역장은 찰방(察訪)이나 역승(驛丞)이 관장하는 여러 역도(驛道)에 소속된 역의 책임자를 가리킨다. 부지런하고 성실하며 믿을 만한 역리(驛吏) 가운데 글을 아는 자를 임명하였다. 각 역에 소속된 역호(驛戶)를 통솔하고, 공무 따위로 오는 사람들을 접대하는 일 등을 주관하였다. 그러했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공무 수행에 필요한 직사각형의 도장을 지급하였다[『단종실록』 3년 5월 18일].

이러한 역장에게 지급한 전지가 장전(長田)이었는데, 모두 자신들이 직접 전세(田稅)를 수취하였다. 그리고 세 명의 정(丁)을 하나의 호(戶)로 편제하여 그 호수(戶首)에게 각각 2결씩을 지급하였다.

[용례]
臣等謹按《大典》諸田條 馬田院田津夫氷夫陵軍等田 則自耕無稅云 此則以公田 許應食之人 自耕而無稅者也 衙祿公須田渡田崇義殿田水夫田長田急走田 則各自收稅云 此則以民收稅 給應食者也[『선조실록』 14년 3월 24일]

[참고문헌]
■ 리숙경, 「고려시대 지방관청부속지에 대한 일고찰 - 공수전·지전·장전을 중심으로 -」, 『동아연구』17,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9.
■ 이경식, 「조선전기 역전의 경영 변동」, 『변태섭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삼영사, 1985.
■ 이장우, 「조선초기의 역전」, 『역사학보』142, 1994.
■ 有井智德, 「李朝初期における公的土地所有としての公田」, 『조선학보』74, 1975.
■ 김옥근, 「조선시대 역전논고」, 『경제사학』1, 1980.

■ [집필자] 이장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