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문감(紫門監)

서지사항
항목명자문감(紫門監)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선공감(繕工監)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공조에 소속되어 궁궐 안팎의 토목·영선·공작을 담당하던 선공감의 별칭.

[개설]
1392년(태조 1) 조선이 건국한 직후에 정한 관제에서 재목(材木)·영선(營繕)·시탄(柴炭)을 담당하는 관서는 선공감(繕工監)이었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이 선공감은 궁궐을 둘러싼 자성(紫城)의 문인 금호문(金虎門) 밖에 있었기 때문에 자문감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이에서 자문감은 선공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중종실록』 3년 1월 12일].

[설립 경위 및 목적]
선공감은 고려초에 설치되어 토목과 영선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조선은 개국과 함께 고려의 선공시(繕工寺)를 계승하여 선공감을 설치하고, 재목과 영선 및 숯을 공급하는 등의 일을 관장하게 하였다. 이 선공감의 별칭이 곧 자문감이다. 자문감은 태종대로부터 사용됨이 확인되고, 그 기능에 있어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9영선(九營繕)이 궁궐 내외의 곳곳을 수리하는 일을 나누어 맡았고, 각종 기구의 제작과 내빙고(內氷庫)의 공상(供上)을 담당하였다’고 한 것에서 선공감과는 별도의 기구라고 추측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문감은 선공감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거니와 『경국대전』에 그 관아가 등재되지 않았고, 그 관아의 위치가 선공감과 동일하며, 수행한 기능이 선공감의 기능에 포함된다. 이에서 또 자문감은 선공감의 별칭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조직 및 역할]
조선 개국 때 선공감은 정3품의 판사(判事) 2명, 종3품의 감(監) 2명, 종4품의 소감(少監) 2명, 종5품의 승(丞) 1명과 겸승(兼丞) 1명, 종6품의 주부(注簿) 2명과 겸주부(兼注簿) 1명, 종7품의 직장(直長) 2명, 정8품의 녹사(錄事) 2명이 있었다. 선공감 성립 때의 이 관직은 이후 육조 중심의 국정운영, 관제의 정비 등과 관련되어 10여 차에 걸쳐 개변되면서 종2품관 이상이 겸하는 제조가 설치되어 장관인 정의 위에서 중요한 관아사에 관여하고 판사 2직 이하가 정 1직 이하로 개칭되고 감소되면서 제조 2직, 정3품 정 1직, 종3품 부정 1직, 종4품 첨정 1직, 종5품 판관 1직, 종6품 주부 1직, 종7품 직장 1직, 정8품 봉사 1직, 종8품 부봉사 1직, 종9품 참봉 1직으로 정착된 후 『경국대전』에 규정되었다. 그 후 『속대전』에 정과 첨정이 혁거됨에 따라 부정이 장관이 되는 종3품 아문으로 강격된 후 조선말까지 계승되었다. 관아의 운영은 육조 속아문제가 실시되는 1405년까지는 장관인 판사가 차관인 감 이하를 지휘하면서 업무를 총관하였고, 그 이후는 제조와 공조 판서·참판·참의의 지휘하에 장관인 판사·정이나 부정이 감·부정이나 판관 이하를 지휘하면서 업무를 총관하였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최정환, 『역주 『고려사』 백관지』, 경인문화사, 2006.
■ 한충희, 『조선초기의 정치제도와 정치』,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집필자] 이석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