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입성(入聲)은 소리의 빠르고 느림, 즉 완급(緩急)에 대한 속성을 나타낸다. 입성은 『훈민정음』 「언해(諺解)」에 ‘리 긋 소리’라고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소리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다른 성조 즉 ‘처음은 낮고 나중은 높은 소리’인 상성(上聲), ‘가장 높은 소리’인 거성(去聲), ‘가장 낮은 소리’인 평성(平聲) 등과는 차이가 있다. 한편 입성은 상성 및 거성과 더불어 측성(仄聲)에 해당하여, 평성과 대립되기도 한다.
[내용 및 특징]
중세 국어의 사성(四聲) 가운데 하나인 입성은 방점(傍點)과 소리 면에서 나머지 성조들과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었다. 『훈민정음』 「예의(例義)」에는 점을 더하는 것은 다른 성조와 같으나 촉급하게 닫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이 말은 평성·상성·거성 등과 같이 무점(無點), 2점, 1점 등으로 방점을 찍어 표시할 수 있으나, 다만 빠르기에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런 입성자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받침에 오는 자음이 장애음(障碍音)인 파열음 혹은 마찰음에 속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즉 파열음인 ‘ㄱ, ㄷ, ㅂ’ 그리고 마찰음인 ‘ㅅ’이 받침에 오면 왼쪽에 붙어 있는 방점의 수와 상관없이 그 음절은 입성자가 되는 것이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훈민정음』 「종성해(終聲解)」에서는 불청불탁(不淸不濁)에 속하는 ‘ㆁ, ㄴ, ㅁ, ㅇ, ㄹ, ㅿ’ 등이 음절의 종성에 오면 그 음절은 평성, 상성, 거성 중 하나가 되고, 그 외의 자음이 오면 그 음절은 입성이 된다고 일차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곧 이어서 많은 자음 가운데 종성으로는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면 충분하다[八字可足用]고 하였다. 곧 8종성가족용법을 언급함으로써 입성자의 종성으로는 ‘ㄱ, ㄷ, ㅂ, ㅅ’의 네 자음만이 쓰인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현대어의 배꽃에 해당하는 ‘곶’은 ‘곳’으로, 여우 가죽을 뜻하는 ‘의 갗’은 ‘엿의 갓’으로 쓸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렇게 ‘ㄱ, ㄷ, ㅂ, ㅅ’ 받침으로 표기한다면 그것은 모두 입성이 된다.
[변천]
성조는 의미를 변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가령 거성인 ‘·손’은 신체의 일부인 손[手]을 나타내고, 평성인 ‘손’은 손님[客]을 의미한다. 이처럼 성조는 음의 높낮이만으로 자음과 모음처럼 단어의 뜻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성조소(聲調素)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중국 북경어의 경우 과거와 다름없이 사성 체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평성·상성·거성·입성이 아니라 음평(陰平)·양평(陽平)·상성·거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문헌 표기에서 엄격하게 지켜졌던 방점 표기는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혼란을 보이는데, 입성을 포함한 성조 체계 역시 이때부터 혼란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초기 단계의 성조에 대한 설명은 상당히 체계적이고 과학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입성의 경우, 현대 음운론에서도 음절 말에 파열음이 오면 파열의 전 단계에서 발성 과정이 멈추기 때문에 발음이 저절로 짧아진다는 사실, 즉 촉급하게 닫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다만 이들 가운데 마찰음 ‘ㅅ’이 15세기와 16세기 교체기에 ‘ㄷ’으로 중화(中和)됨에 따라 입성자의 받침 수가 세 개로 줄었다가, 이후 16세기 말에 방점 표기가 문란해지면서 입성이 사라졌을 것으로 보인다. 입성자에 해당하는 ‘ㄱ, ㄷ, ㅂ’ 받침의 글자들은 받침 자음의 특성으로 인하여 현대 국어에서도 여전히 촉급하게 닫는 소리이지만, 의미 변별의 역할이 없다는 점과 타 성조와의 대립이 없다는 점에서 중세 국어와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