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이장(里長)

서지사항
항목명이장(里長)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이정(里正)
분야사회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각 리(里)의 행정 업무와 전달 사항을 처리하던 직임.

[개설]
조선시대의 행정 구역은 8도 밑에 주(州)·부(府)·군(郡)·현(縣) 등을 두고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하여 통치하였다. 이때 각 지역을 통치하는 보조 기구로 각 동리(洞里)에 지역의 책임자로 이장(里長) 혹은 이정(里正)을 두어 각종 행정 업무와 전달 사항을 처리하게 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이장은 법제적으로 설치된 행정 조직 명칭은 아니지만 조선초기부터 각 지역의 행정 업무를 맡아서 처리한 직임으로 보인다.

[조직 및 역할]
1398년(태조 7) 도당에서는 각 관청에서 진언한 내용을 건의하였는데, 그 가운데에는 가난한 백성을 향리와 이장 등이 이유 없이 사역을 시킨다고 하며 금지시킬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있다[『태조실록』 7년 12월 29일]. 태종대의 호패법 시행 논의에서는 이장이 수령과 함께 호구를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태종실록』 3월 24일 3번째기사] [『태종실록』 8년 11월 23일] [『태종실록』13년 9월 1일].

이후 이장은 각사(各司)의 노비를 추쇄하는 데 있어서도 수령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태종실록』 14년 8월 18일], 각 도의 유랑민을 엄금하는 법에서도 이장은 하부의 호수(戶首), 가까운 이웃을 뜻하는 겨린[切隣] 및 상부의 수령과 함께 유랑민 억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세종실록』 6년 1월 9일] [『세조실록』 12년 5월 6일].

[변천]
중앙 집권 관료제에서는 수령들로 하여금 각 자연 촌락을 담당하는 이장·이정들을 직접 관장하여 집권력을 최하부 단위에까지 관철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일반 농민들이 살고 있는 촌락들에 수령의 행정력 외에 다른 권력이 침투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으려 했다. 조선후기의 지방 행정 제도에서는 각 자연 촌락의 책임자 이정(里正)이 이장의 기능을 대신하였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28: 조선 중기 사림 세력의 등장과 활동』, 국사편찬위원회, 1995.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