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의성고(義成庫)

서지사항
항목명의성고(義成庫)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덕천고(德泉庫), 내자시(內資寺)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부터 조선초까지 왕실에 필요한 재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한 창고.

[개설]
고려 충렬왕 이후 왕실의 사적 용도가 많아지면서 그 필요를 공급하기 위해 의성고를 설치하였다. 조선이 건국한 이후에도 고려의 제도를 따라 설치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가 원(元)나라를 섬기면서 대대로 원의 공주를 맞이하자 궁중의 지출이 많아졌다. 또 연경(燕京)에 친조(親朝)하거나 그곳에 머무를 때 드는 재물도 고려가 스스로 마련해야 했다. 이에 의성고와 덕천고(德泉庫) 등의 창고를 설치하여 이 같은 용도에 대비토록 하였다.

[조직 및 역할]
조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으나 1395년(태조 4)에 이색(李穡)을 의성고 등 5고(五庫) 도제조(都提調)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의성고를 담당하는 제조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태조실록』 4년 12월 22일]. 또한 실무를 담당하는 별감(別監)이 있었다.

[변천]
조선초에 설치된 의성고는 1403년(태종 3) 쓸데없는 관원을 없애고 관제를 고칠 때 관아와 그 관원이 내자시(內資寺)에 병합되면서 소멸하였다[『태종실록』 3년 6월 29일].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삼봉집(三峰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최정환, 『역주 『고려사』 백관지』, 경인문화사, 2006.
■ 한충희, 『조선초기의 정치제도와 정치』,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집필자] 이석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