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고려 말부터 사용된 화약 병기로서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과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이다. 유화와 같은 분사식 무기에는 주화·화전·천산오룡전·촉천화 등이 있다.
[연원 및 변천]
1377년(고려 우왕 3)에 최무선(崔茂宣)의 건의에 따라 화통도감이 설치되었다. 이 화통도감을 통해서 유화(流火)를 비롯하여 18종의 각종 화기와 발사물이 제작되었다. 이때부터 고려의 화약 및 화기의 제작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화통도감의 구성이나 규모, 화약 병기의 위력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유화는 ‘흐르는 불’이라는 이름으로 보아 오늘날의 로켓과 같이 화약의 힘으로 날아가 적진을 불사르거나 사람과 말을 살상하는 분사식 화약 무기로 해석된다. 연등놀이를 묘사한 『연재집(淵齋集)』 권19에 실린 시에 ‘천만 가지 등불은 나무에 층층, 유화는 이루 셀 수 없거니’라는 구절이 있는 것에서 분사식 불화살로 불꽃놀이에도 이용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고려에는 유화 외에도 주화·화전·천산오룡전·촉천화 등의 분사식 무기가 있었다. 이들 화기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신기전(神機箭)으로 발전하여 널리 활용되었다.
[형태 및 용도]
유화의 생김새는 문헌자료가 간략하여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오늘날의 로켓처럼 적진에 날아가 인마를 살상하는 분사식 무기라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무기인 주화는 화살통에 넣어 발사하면 불빛과 연기를 내면서 날아가는데, 추진 원리가 현대의 로켓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