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유(流)

서지사항
항목명유(流)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오형(五刑)
동의어유형(流刑), 유배(流配), 정배(定配), 귀양
관련어안치(安置), 중도부처(中途付處), 전가사변(全家徙邊)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오형의 한 종류로 죄인을 귀양 보내는 형벌.

[내용]
유(流)는 『대명률(大明律)』에 근거한 조선시대 형벌 체제인 오형(五刑)의 한 종류로, 죄인을 귀양 보내는 형벌이다. 유형, 유배, 정배, 귀양 등으로도 불리는데, 죄인이 중죄를 범하였을 때 차마 사형(死刑)에 처하지 못하고 먼 곳으로 귀양 보내 죽을 때까지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게 하였다. 유형(流刑)은 도형(徒刑)과 달리 노역을 시키지 않았지만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은 종신형이었기 때문에 도형보다 무거운 형벌이었다. 『대명률』에 의하면 유형에는 장형(杖刑)이 함께 부과되어 장 100·유 2,000리, 장 100·유 2,500리, 장 100·유 3,000리의 세 등급이 있었다. 조선에서는 1430년(세종 12) 12월 우리나라의 지형에 맞도록 조정하여 유배지를 상정(詳定)하였는데, 죄인의 사는 곳을 기준으로 유 2,000리는 20식(息), 유 2,500리는 25식, 유 3,000리는 30식 거리에 있는 지역에 배소가 배정되었다. 1식은 30리이기 때문에 20식은 600리, 25식은 750리, 30식은 900리 정도에 해당하였다. 유형은 도형과 마찬가지로 속전(贖錢)으로 대신할 수 있었는데, 『대명률』의 동전 30관(貫), 33관, 36관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조정하여 유 2,000리는 오승포 300필, 유 2,500리는 오승포 330필, 유 3,000리는 오승포 360필로 환산하여 적용하였다.

[용례]
定流罪收贖之法 議政府啓曰大明律流三千里 贖銅錢三十六貫 本國以五升布十五匹準銅錢一貫 計五升布五百四十匹 本國之境 流不滿三千里 其收贖則滿三千里數 名實不相當 以本國境內里數計之 最遠慶源府一千六百八十里 其三十六貫減一分 二十四貫 準計五升布三百六十匹 其流二千五百里則贖錢三十三貫 東萊縣爲次一千二百三十里 其三十三貫減一分 二十二貫 準計五升布三百三十匹 其流二千里則贖錢三十貫 丑山爲次一千六十五里 其三十貫減一分 二十貫 準計五升布三百匹 自今以後 凡贖流罪 以上項本國里數準計 從之[『태종실록』 2년 9월 3일]

[참고문헌]
■ 김경숙, 「朝鮮時代 流配刑의 執行과 그 事例」, 『사학연구』55·56, 1998.
■ 심재우, 「조선전기 유배형과 유배생활」, 『국사관논총』92, 2000.

■ [집필자] 김경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