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원훈(元勳)

서지사항
항목명원훈(元勳)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공신(功臣)
하위어감훈(勘勳)
동의어수훈(首勳)
관련어훈호(勳號), 사훈(司勳)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왕을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킨 최고의 공신.

[내용]
『주례』 사훈(司勳)에 대한 주(注)에서 정현(鄭玄)은 국가에서 시상하는 공훈의 등급을 여섯 가지로 나누었다. 여섯 공훈의 등급 중 최고의 공훈은 왕업(王業)을 잘 보좌한 공훈으로서의 훈(勳)이었다. 훈 중에서도 최고의 훈이 바로 원훈이었다. 조선시대 원훈은 정공신 중에서 최고의 공신 1명을 지칭하기도 하고 또는 1등공신 전체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원훈은 정공신을 대표하는 존재로서 공신 책봉 시 공신 등급을 결정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왕이 지명하는 원훈과 대신이 모여서 공신 대상자 및 공신 등급을 의논하여 결정하였다. 원훈은 최고의 공신이었으므로 형사상의 감형 등 수많은 특권을 누렸다.

[용례]
傳曰 元勳大臣 與國同休戚 凡民宜視爲與國家一體也 若如汾等所言 則何以保全功臣 維持國家哉 有頃 中宮以諺文啓 近者 人之坐死者多 汾等所犯 苟若屬 上須置極刑 不然則請流遠地 以求生道 上卽下其文於政院 特減死[『세조실록』 4년 8월 24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주례(周禮)』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