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요질(腰絰)

서지사항
항목명요질(腰絰)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상복(喪服), 성복(成服), 소렴(小斂)
하위어자최요질(齋衰腰絰), 참최요질(斬衰腰絰)
동의어최질(衰絰)
관련어교대(絞帶), 수질(首絰), 장(杖), 참최관(斬衰冠)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참최(斬衰)와 자최(齋衰)의 상복을 입을 때 허리에 두르는 삼 띠.

[내용]
요질은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신분의 귀천이 없다. 참최요질의 둘레는 7치 남짓하고 자최요질의 둘레는 5치이다. 양 갈래를 서로 꼬아 양 머리를 묶고, 각각 삼의 뿌리를 3자 정도 풀어서 늘어뜨린다. 꼬아 묶은 곳의 양 옆에는 각각 가는 끈을 매단다. 요질은 담사(禫祀)를 지낸 다음에 버리며, 70살 이상은 하지 않는다.


[용례]
上下敎曰 初喪小斂後 環絰及頭巾 腰絰 (중략) 腰絰則大功以上散垂未長三尺 至成服乃絞 啓殯復散垂三尺 卒哭乃絞[『효종실록』 즉위 7월 14일 4번째기사].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집필자] 이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