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역관(譯官)

서지사항
항목명역관(譯官)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기술관(技術官), 사역원(司譯院), 역학(譯學)
하위어몽골어[蒙古語], 여진어(女眞語), 왜어(倭語), 한어(漢語)
관련어역과(譯科), 취재(取才), 통사(通事)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에 통역을 비롯한 각종 외교 실무를 담당하였던 관원.

[내용]
역관은 외국의 사신과 수행원 접대·사행 수행 등을 통하여 실제 외국인과의 접촉은 물론, 정보활동 등 기타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경제·문화적으로는 공무역(公貿易)을 담당하거나 선진 문물 도입의 통로 역할을 하였다. 역관은 정3품 당하관까지 승진할 수 있으며 잡과를 거쳐 임용되는 상급기술관이었다.

[용례]
司諫院大司諫鄭佸等上箚子曰 今以譯官張有誠爲管押使 通事出入中朝 興販取利 人皆賤之 雖堂上固不可以朝官待之也[『성종실록』 5년 8월 26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통문관지(通文館志)』
■ 백옥경, 『조선전기 역관연구』, 한국연구원, 2006.
■ 김양수, 「조선후기의 역관신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 [집필자] 백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