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양수척(楊水尺)

서지사항
항목명양수척(楊水尺)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수척(水尺), 화척(禾尺), 무자리
분야사회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후삼국부터 고려시대까지 사냥과 유기 제조를 생업으로 삼던 유랑민.

[개설]
양수척(楊水尺)은 후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존재하였던 천업(賤業)에 종사하던 무리로, 일명 수척(水尺)·화척(禾尺)·무자리라고도 한다. 변경 지대에 주로 많이 살았고 떠돌아다니면서 사냥과 유기(柳器: 고리)를 만들어 파는 것으로 업을 삼았다. 1423년(세종 5)에 이들의 명칭이 ‘백정(白丁)’으로 바뀌었다.

[담당 직무]
고려시대 최충헌(崔忠獻) 집권기에는 흥화도(興化道)·운중도(雲中道) 등의 양수척에게 공물을 과다하게 징수하자 반발이 있었다. 몽고에 의해 멸망당한 요(遼)의 잔당인 거란유종(契丹遺種) 금산왕자(金山王子)·금시왕자(金始王子) 무리가 침입하자 이들의 길잡이 노릇을 하기도 하였다.

[변천]
양수척이라는 호칭은 1423년(세종 5) 병조(兵曹)의 제의에 따라 고려시대의 일반 농민을 의미하는 ‘백정(白丁)’으로 바뀌었으나, 그 신분은 여전히 천인으로 존재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양수척을 일반 농민과 섞여 살도록 하고 각 관의 일수(日守), 서원(書員), 의율생도(醫律生徒)와 함께 잡색군(雜色軍)으로 편성하기도 하였다[『문종실록』 즉위년 8월 25일]. 그러나 양수척은 이전과 같이 도적질을 하고 배반을 하기도 하며 적에게 길을 안내해 주는 향도(嚮導) 노릇을 하기도 하여, 양성지(梁誠之)는 그들이 관장(官長)을 고발하지 못하게 하도록 단속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예종실록』 1년 6월 29일].

『중종실록』 기사에서는 양수척에 대해서 "우리나라에 별종 인간이 있어서 사냥이나 유기를 만들어서 생업으로 하고 있는데, 호적에 올라 있는 백성들과 달라서 ‘백정’이라고 하였는데, 바로 전 왕조의 양수척이다[我國有別種人 以射獵結造柳器爲業 異於編氓 名曰白丁 卽前朝之揚水尺]."라고 주석을 달아 놓았다[『중종실록』 5년 8월 4일]. 이는 이후 양수척이라는 명칭이 잘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 강만길, 「선초 백정고」, 『사학연구』18, 1964.
■ 鮎貝房之進, 「白丁·水尺·禾尺·楊水尺」, 『雜攷』5, 1937.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