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안일호장(安逸戶長)

서지사항
항목명안일호장(安逸戶長)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섭호장(攝戶長), 정조호장(正朝戶長)
분야사회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각 지방 관아의 향리를 은퇴한 사람에게 호장 직무를 겸임한다는 의미로 내려 준 명예직 직책.

[개설]
안일호장(安逸戶長)은 호장(戶長)의 직임을 역임한 전임 호장이라는 의미로 주는 일종의 명예직이다. 안일호장의 ‘안일(安逸)’은 쉰다는 뜻이고 호장은 향리의 수장(首長)을 가리킨다.

[설립 경위 및 목적]
998년(고려 목종 1) 나이 70세에 이른 호장을 은퇴시키는 의미에서 처음 안일호장직을 설치하였다.

[조직 및 역할]
대부분 고을에서는 은퇴한 향리들이 안일호장 직을 받고 안일방(安逸房)을 구성하였다. 안일방은 현직 향리들의 직임을 선출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등 지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변천]
조선 성종대에는 향리직을 격려하는 의미에서 포장(褒奬)의 뜻으로 은퇴한 향리에게 각 지방 관아에서 진성(陳省)을 올려 섭호장(攝戶長), 정조호장(正朝戶長), 안일호장(安逸戶長) 등의 직첩을 주도록 규정하였다[『성종실록』 2년 5월 25일]. 이 제도는 『경국대전』에도 그대로 수록되었다.

[참고문헌]
■ 이훈상, 『조선 후기의 향리』, 일조각, 1990.
■ 김준형, 「조선시대 향리층 연구의 동향과 문제점」, 『사회와역사』27, 1991.
■ 김필동, 「조선 후기 지방 이서 집단의 조직 구조(上): 사회사적 접근」, 『한국학보』28, 1982.
■ 김필동, 「조선 후기 지방 이서 집단의 조직 구조(下): 사회사적 접근」, 『한국학보』29, 1982.
■ 이성무, 「조선 초기의 향리」, 『한국사연구』5, 1970.
■ 이수건, 「조선조 향리의 일연구: 호장(戶長)에 대하여」, 『(영남대학교)문리대학보』3, 1974.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