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신호위(神虎衛)

서지사항
항목명신호위(神虎衛)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육위(六衛)
하위어보승군(保勝軍), 정용군(精勇軍)
관련어좌우위(左右衛), 흥위위(興威衛), 용기순위사(龍騎巡衛司)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고려시대 중앙군인 6위에 속한 군대.

[내용]
6위(衛) 중의 하나인 신호위는 995년(고려 성종 14) 6위의 성립과 함께 성립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좌우위(左右衛), 흥위위(興威衛)와 함께 신호위(神虎衛)는 전원 보승군(保勝軍)과 정용군(精勇軍)으로 편성되어 전투 부대의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즉 좌우위는 13령(領), 흥위위는 12령, 신호위는 7령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들 3위는 6위 전체 병력 42령의 76%를 차지하여 6위 가운데 그 병력 규모가 가장 큰 부대들이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양계(兩界) 지역으로의 방수(防戍)를 주 임무로 하였고, 비상시에는 기간 전투 부대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신호위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1395년(태조 4) 용기순위사(龍騎巡衛司)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

[용례]
神虎衛爲龍騎巡衛司[『태조실록』 4년 2월 13일]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鄭景鉉, 「高麗前期 二軍六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집필자] 김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