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신일(辛日)

서지사항
항목명신일(辛日)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상신(上辛), 신묘일(辛卯日), 신사일(辛巳日), 신축일(辛丑日), 종신일(終辛日), 중신일(中辛日), 초신일(初辛日)
분야생활 풍속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신(辛)으로 된 날.

[내용]
신일(辛日)은 신축일(辛丑日)·신묘일(辛卯日)·신사일(辛巳日) 등처럼 여섯 종류가 있고 한 달에 세 번이 있다. 이 가운데 첫 번째를 초신일(初辛日), 두 번째를 중신일(中辛日), 세 번째를 종신일(終辛日)이라고 한다. 한 해의 첫째 신일을 상신(上辛)이라고 하는데, 득신(得辛)이라 하여 이날에 그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쳤다. 기곡제(祈穀祭) 또는 기곡대제(祈穀大祭)는 나라에서 주관하는 제사로 정월 첫 신일에 사직(社稷)에서 그해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면서 왕이 친히 지내거나 대신을 보내 섭의(攝儀)를 하였다.

1406년(태종 6) 1월 10일은 신축일로 새해 첫 번째 맞는 상신일이었다. 태종은 이날 호조 판서 이지(李至)를 보내 원단(圓壇)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또한 『속오례의(續五禮儀)』 시일조(時日條)에는 정월 첫 신일에 곡식을 빌고 사직에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1781년(정조 5) 상신일 다음에 입춘이 올 경우 상신일 기곡제를 입춘 전에 행할지 이후에 행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정조실록』 5년 12월 22일].

[용례]
遣戶曹判書李至 祈穀于圓壇[『태종실록』 6년 1월 10일].

[참고문헌]
■ 『속오례의(續五禮儀)』

■ [집필자] 정승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