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신일(辛日)

서지사항
항목명신일(辛日)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상신(上辛), 신묘일(辛卯日), 신사일(辛巳日), 신축일(辛丑日), 종신일(終辛日), 중신일(中辛日), 초신일(初辛日)
분야생활 풍속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일진(日辰)의 천간(天干)이 신(辛)으로 된 날.

[내용]
신일(辛日)은 신축일(辛丑日)·신묘일(辛卯日)·신사일(辛巳日) 등처럼 여섯 종류가 있고 한 달에 세 번이 있다. 이 가운데 첫 번째를 초신일(初辛日), 두 번째를 중신일(中辛日), 세 번째를 종신일(終辛日)이라고 한다. 한 해의 첫째 신일을 상신(上辛)이라고 하는데, 득신(得辛)이라 하여 이날에 그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쳤다. 기곡제(祈穀祭) 또는 기곡대제(祈穀大祭)는 나라에서 주관하는 제사로 정월 첫 신일에 사직(社稷)에서 그해 농사의 풍작을 기원하면서 왕이 친히 지내거나 대신을 보내 섭의(攝儀)를 하였다.

1406년(태종 6) 1월 10일은 신축일로 새해 첫 번째 맞는 상신일이었다. 태종은 이날 호조 판서 이지(李至)를 보내 원단(圓壇)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다. 또한 『속오례의(續五禮儀)』 시일조(時日條)에는 정월 첫 신일에 곡식을 빌고 사직에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다. 1781년(정조 5) 상신일 다음에 입춘이 올 경우 상신일 기곡제를 입춘 전에 행할지 이후에 행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정조실록』 5년 12월 22일].

[용례]
遣戶曹判書李至 祈穀于圓壇[『태종실록』 6년 1월 10일].

[참고문헌]
■ 『속오례의(續五禮儀)』

■ [집필자] 정승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