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시사복(視事服)

서지사항
항목명시사복(視事服)
용어구분용어용례
동의어집무복(執務服)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왕이 정사를 볼 때 입는 옷.

[내용]
왕의 시사복(視事服)은 익선관(翼善冠)에 곤룡포(衮龍袍)이다. 곤룡포는 여름에는 대홍사(大紅紗)로 하고 겨울에는 대홍단(大紅緞)으로 하였다. 상중의 시사복은 『오례의(五禮儀)』의 복제(服制)에 따라 졸곡(卒哭) 후에는 백포(白袍)·익선관·오서대(烏犀帶)·백피화(白皮靴)를 착용하고, 상제(祥祭)에는 참포(黲袍)·익선관·오서대·백피화를 착용하며, 담제(禫祭)에는 현포(玄袍)·익선관·오서대·백피화를 착용하였다.

사직단에 나아가 제사를 지낼 때는 익선관·흑원령포(黑圓領袍)·옥대(玉帶)·흑화(黑靴) 차림으로 의례대로 제사를 지내고 예를 끝내고 돌아올 때에는 시사복으로 갈아입었다. 시사복은 왕조에 따라 다소 변화가 있었는데, 1660년(현종 1)에 오사모(烏紗帽)·오각대(烏角帶)를 시사복으로 정한 규정은 선조대에 개정된 것이다. 한편, 중국의 황제가 죽으면 상복을 별도로 만들지 않고 백포(白袍)와 백모(白帽)를 착용하였다.

[용례]
五禮儀 及 喪禮補編 卒哭後自上視事服 以布裹翼善冠 布裹烏犀帶白皮靴載錄[『철종실록』 8년 8월 10일].

■ [집필자] 윤양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