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숙견(熟絹)

서지사항
항목명숙견(熟絹)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견(絹), 비단(緋緞)
동의어소(素), 연견(練絹), 연위(練緯)
관련어생견(生絹), 숙갑사(熟甲紗), 숙견사(熟絹絲), 숙고사(熟庫紗)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생견사(生絹絲)나 생견포(生絹布)를 정련하여 짠 비단.

[내용]
『예기(禮記)』 옥조(玉條)의 주에 “호(縞)는 생견(生絹)이고 소(素)는 숙견(熟絹)이다.”라고 하였다. 조선 왕실에서 보낸 조공에 대한 중국의 답례품에는 많은 양의 숙견이 포함되어 있다. 그 예로 1406년(태종 6) 12월 조선에서 명나라에 동불(銅佛)을 바친 데 대한 답례로 황제가 보낸 물품에 숙견 30필이 있었으며[『태종실록』 6년 12월 22일], 1408년(태종 8) 4월 조선에서 3,000필의 말을 보내자 화은(花銀)·저사(紵紗)·소선라(素線羅)를 포함하여 숙견 100필을 보내 왔다[『태종실록』 8년 4월 16일].

그 외에도 1423년(세종 5) 8월에는 숙견 800필을 보내왔고[『세종실록』 5년 8월 27일], 1433(세종 15) 10월에는 남청(藍靑)·목홍(木紅)·명록(明綠)·심도홍(深桃紅)의 색숙견을 보내 왔다[『세종실록』 15년 10월 13일]. 또한 1456년(세조 2) 3월에는 일본의 사자가 토산물을 조선에 바쳤는데, 그중 연위(練緯) 10필이 포함되어 있다[『세조실록』 2년 3월 15일]. 연위는 숙견을 가리킨다.

[용례]
今賜王花銀四十箇 每箇重二十五兩 計一千兩 紵絲五十匹素線羅五十匹熟絹一百匹[『태종실록』 8년 4월 16일].

[참고문헌]
■ 『가례집람(家禮輯覽)』

■ [집필자] 윤양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