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속안(續案)

서지사항
항목명속안(續案)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형지안(形止案)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각 관사(官司)에 소속된 공노비 명부에서 누락된 노비를 추적하여 추가로 만든 명부.

[내용]
조선시대 각 관사는 3년에 한 번씩 그 관사에 소속된 공노비의 명단을 기재한 일종의 노비 명부인 형지안(形止案)을 만들었다. 형지안을 작성하고 난 후 누락된 노비가 있음이 확인되면 각 관사는 이를 형조에 보고하고, 형조는 다시 그 관사에 통첩(通牒)하여 추가로 이들 노비 명단을 기재하였는데, 이를 속안(續案)이라 한다.

[용례]
各司奴婢刷卷色上疏 (중략) 一 今丁酉年案付奴婢 每十口擇一口 定爲頭目 每三口役一口 逃亡移接生産之額 頭目奴婢及里正長 隨卽告官置簿 待續案時 明白施行 其容隱不告者 照律論罪 未滿十口者 頭目奴婢 從宜擇定[『태종실록』 17년 윤5월 6일]

■ [집필자] 문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