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소각(小角)

서지사항
항목명소각(小角)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각(角), 악기(樂器)
관련어노부(鹵簿), 대각(大角), 중각(中角), 취각(吹角), 취각령(吹角令), 취라치[吹螺赤]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각(角)의 한 종류. 군영에서 밤에 신호할 때 연주하는 악기이자 법가노부와 소가노부에 진설하여 연주하는 악기.

[내용]
소각(小角)의 대구(大口)는 황동(黃銅)이나 뿔로 만들고 자루는 나무로 만들어 주칠을 한다. 각의 신호에는 영(令)·전(戰)·촉(促)·보(報)의 네 종류가 있었는데, 소각은 전과 촉에 사용되었다. 노부에는 법가노부와 소가노부에 소각이 진설되었다.

[용례]
若左軍或右軍入直 (중략) 或値暮夜 未辨旗色 則聞其軍角聲聚會 中軍吹大角 左軍吹中角 右軍吹小角 各軍軍馬畢會 則吹角止[『세종실록』 즉위년 9월 27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악학궤범(樂學軌範)』

■ [집필자] 이숙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