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설음(舌音)

서지사항
항목명설음(舌音)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자음(子音)
동의어설성(舌聲), 혓소리
관련어반설음(半舌音), 순음(脣音), 아음(牙音), 치경음(齒莖音), 치음(齒音), 치조음(齒槽音), 후음(喉音), 훈민정음(訓民正音)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훈민정음에서 ‘ㄴ, ㄷ, ㅌ’ 등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를 이르는 말.

[개설]
설음(舌音)은 중국 음운학(音韻學)에서 성모(聲母)를 분류하는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로,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서 나는 소리를 말한다. 1443년(세종 25)에 창제된 훈민정음의 자음 17자 중에서는 ‘ㄴ, ㄷ, ㅌ’ 등이 설음에 속한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는 ‘ㄴ, ㄷ, ㅌ, ㄸ’ 등을 ‘ㅅ, ㅆ’과 함께 치조음(齒槽音) 또는 치경음(齒莖音)으로 분류한다.

[내용 및 특징]
설음은 혀끝을 윗잇몸에 닿게 한 다음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개방하면서 내는 소리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음 글자에는 ‘ㄴ, ㄷ, ㅌ’ 등이 있다. 이 중 기본자는 ‘ㄴ’인데,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ㄷ’은 ‘ㄴ’보다 소리가 세기 때문에 ‘ㄴ’에 획을 더하였고, ‘ㅌ’은 ‘ㄷ’보다 소리가 세기 때문에 ‘ㄷ’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한편 ‘ㄹ’은 ‘반설음(半舌音)’인데,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에서는 설음과 마찬가지로 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기술하고 있으나, 그 소리가 ‘ㄴ’보다 센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리의 세기에 따라 획을 더한 뜻은 없다. 조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조음 방법에 따라 획을 더하여 가획자(加劃字)를 만들었다. 그리고 아음, 설음, 치음의 경우에는 각 기본자의 모양을 달리하여 이체자(異體字)를 만들었다.


설음에 대한 언급이 『조선왕조실록』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15세기의 일이다. 『세종실록』에는 1446년(세종 28)에 완성된 『훈민정음』 「어제(御製)」와 예조 판서 정인지(鄭麟趾)의 「서문」이 실려 있는데, 그 중 「어제」에 설음의 음가와 사용법이 기록되어 있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변천]
훈민정음에서는 ‘ㄴ, ㄷ, ㅌ, ㄹ’을 설음이라고 하였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ㄴ, ㄷ, ㅌ, ㄸ’과 ‘ㅅ, ㅆ’이 모두 치조음 또는 치경음으로 분류된다. 치조음이란 혀끝이 치조(齒槽), 즉 윗잇몸에 닿았다가 떨어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인데, 다르게는 치경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문헌]
■ 강규선·황경수, 『훈민정음 연구』, 도서출판청운, 2006.
■ 강신항,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 김무림·김옥영, 『국어음운론』, 새문사, 2009.
■ 박병채, 『국어발달사』, 세영사, 1996.
■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 [집필자] 권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