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생견(生絹)

서지사항
항목명생견(生絹)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견(絹)
동의어생명주(生明紬)
관련어활생견(闊生絹)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누에고치에서 나온 생사(生絲)를 정련·표백하지 않고 짠 비단.

[내용]
생견(生絹)은 생명주(生明紬)라고도 하는데, 조선에서 보낸 방물에 대한 중국의 답례품에 상당량의 생견이 포함되어 있었다. 1408년(태종 8) 당시 생견 1필의 가치는 쌀 3석(石)에 해당되는데 이는 명나라 사신 황엄(黃儼) 등이 금강산(金剛山) 표훈사(表訓寺)반승(飯僧) 비용으로 준 견(絹) 30필에 대해 채견(綵絹) 1필은 쌀 4석, 생견 1필은 쌀 3석으로 바꿔 공급해 줄 것을 요청한 것에서 알 수 있다[『태종실록』 8년 5월 4일].

중국 황제는 세종의 즉위를 인정하면서 축하 잔치에 술과 과일을 대신하는 잔치 비용으로 생견 300필과 안팎 옷감 30필 및 양 1,000마리를 하사하였다. 중국에서는 일반 폭과 폭넓은 활생견(闊生絹)도 만들었는데 문종 때 활생견 100필을, 예종 때는 500필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용례]
綵絹一匹米四石 生絹一匹米三石 以供僧徒[『태종실록』 8년 5월 4일].

■ [집필자] 윤양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