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상촉(尙燭)

서지사항
항목명상촉(尙燭)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내시부(內侍府), 등촉(燈燭), 문차비(門差備), 체아직(遞兒職)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내시부에 속하여 등촉(燈燭)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종6품 관직.

[내용]
정원은 4명이었으며, 대전과 왕비전의 문차비(門差備), 세자궁의 등촉방(燈燭房) 등에서 차임되었다. 내시부는 궁궐에서 왕을 비롯한 왕실 사람들의 시중드는 일을 맡아보았다. 내시들의 직급 명칭은 모두 첫 글자가 ‘상(尙)’으로 되어있는데, 상은 왕이 쓸 물건을 주관한다는 뜻이다.

[용례]
黃海道觀察使金正國狀啓曰 牛峯縣人內侍尙燭池仲亨 橫行傍近各官 直入公廳 偃然對坐 綿布雜物 滿紙列書 求索無厭 恣行無忌 爲弊莫甚 若不痛繩以法 漸不可長[『중종실록』 14년 8월 14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육전조례(六典條例)』
■ 장희흥, 「조선전기 내시부에 대한 고찰」, 『지촌김갑주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 1994.
■ 홍순민, 「조선왕조 내시부의 변천과 내시 수효의 변천」, 『역사와 현실』 52, 2004.

■ [집필자] 류주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