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상상관(上上官)

서지사항
항목명상상관(上上官)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사역원(司譯院), 역관(譯官), 통신사행(通信使行)
동의어수역(首譯)
관련어당상역관(堂上譯官), 상관(上官), 중관(中官), 차관(次官), 하관(下官)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 통신사행 일행 중 첫째 등급에 해당되는 관원.

[내용]
조선후기 일본에서는 통신사행의 수행원 접대를 위하여 편의에 따라 크게 상상관(上上官)·상관(上官)·차관(次官)·중관(中官)·하관(下官)의 5등급으로 나누었고, 이것을 접대 및 숙박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중 상상관은 정사·부사·종사관의 삼사(三使)를 제외한 당상역관(堂上譯官)을 가리키는 말이다. 조엄(趙曮)의 『해사일기(海槎日記)』에 의하면, 유천사건(柳川事件) 발생 시 당상역관으로 갔던 홍희남(洪喜男)이 사태를 원만하게 처리하게 되면서부터 대마도에서 당상역관을 상상관으로 일컬었다고 한다.

당상역관은 역관들의 총 책임자인 동시에 대마도주나 관백(關白)과 직접 대화하고 서계(書契) 및 예단을 전달해 주는 등 사행에서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여 그 위상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용례]
東萊府使馳啓曰 (中略) 上上官者 乃指堂上譯官也 堂上堂下譯官及醫官等 加送無妨 事係變通 請令廟堂稟處[『숙종실록』 8년 1월 15일]

[참고문헌]
■ 『통문관지(通文館志)』
■ 『해사일기(海槎日記)』
■ 『증정교린지(增正交隣志)』
■ 심민경, 「조선 후기 통신사 원역의 차정과 변화」,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집필자] 백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