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상림원(上林園)

서지사항
항목명상림원(上林園)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공조(工曹)
동의어상림원(上林苑)
관련어동산색(東山色), 장원서(掌苑署)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전기 궁궐 내 정원을 관리하고 과일·화초 등에 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개설]
상림원은 상림원(上林苑)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조선 초인 1394년(태조 3) 동산색(東山色)을 개칭한 것으로, 궁궐 내의 정원 관리 등을 주로 담당하였다. 또한 진기한 동물들이 진상되면 이의 사육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1466년(세조 12) 장원서(掌苑署)로 개칭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1394년 7월 11일 종전의 동산색을 상림원으로 개칭하면서 설치되었다. 동산색이 관장하던 궁궐 내의 정원 관리와 지방에서 진상되는 과채(果菜)·화초(花草)에 관한 일을 계속해서 관장하였다.

[조직 및 역할]
소속 관원의 직제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정을 찾을 수 없다. 다만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제조(提調) 2명[『세종실록』 5년 3월 24일]을 비롯해 제거(提擧)와[『세종실록』 11년 10월 11일] 사(史)[『태조실록』 7년 9월 1일], 별좌(別坐)[『태종실록』 6년 2월 6일], 별감(別監)[『태종실록』 13년 10월 20일] 등이 소속되었다. 이 중 제거·별좌는 무록직(無祿職)이고, 별좌는 구임직(久任職)이다[『세조실록』 6년 8월 16일]. 이 밖에도 관사(管事)·부관사(副管事)·전사(典事)·부전사(副典事)·급사(給事)·부급사(副給事) 등의 직제가 설치되기도 하였다[『세조실록』 3년 7월 12일].

상림원은 1405년(태종 5) 육조(六曹)의 속사와 속아문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선공감(繕工監)·사재감(司宰監) 등과 함께 공조(工曹)의 속아문으로 편성되었다[『태종실록』 5년 3월 1일].

상림원은 경복궁 정원 안의 화초뿐 아니라 노루와 사슴 등 관상용의 동물 사육을 주로 담당하였다[『세종실록』 5년 3월 3일]. 이의 연장선상에서, 관리하는 나무의 접목을 위해 지방에서 좋은 묘목을 구하기도 하였다[『태종실록』 12년 2월 18일]. 또한 특이한 동물들이 진상되면 이의 사육을 담당하였는데, 평안도에서 바친 검은 여우를 비롯해[『세종실록』 10년 3월 10일] 제주도에서 바친 원숭이와 노루[『세종실록』 18년 윤6월 16일], 그리고 대마도의 종정무(宗貞茂)가 사신을 통해서 바친 공작[『태종실록』 6년 9월 26일]의 사육을 담당하였다.

이 밖에도 각 지방에서 중앙으로 진상되는 과일의 수납을 전담하기도 하였는데[『세종실록』 8년 2월 4일], 간혹 상림원에서 기른 과일이 많은 경우 진상하는 과일의 양을 줄이기도 하였다[『세종실록』 10년 9월 19일]. 상림원에서 기르던 화초와 비둘기를 민간에 분양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8년 4월 22일]. 상림원에서 과일을 출납할 때는 감찰(監察)이 파견되어 감독하였다[『세조실록』 11년 6월 29일].

[변천]
상림원은 1466년(세조 12) 1월 15일 장원서로 개칭되어 이후 『경국대전』에 규정되었다. 장원서에는 종1~종2품관이 겸하는 제조 1직과 6품직인 별제(別提) 3직과 정6품직인 장원(掌苑) 1직이 있었고, 『속대전』에 제조와 장원이 혁거되면서 별제가 2직으로 감소되고 종6품직이 됨에 따라 정6품 아문에서 종6품 아문으로 조정되어 규정된 후 조선말까지 계승되었다.

■ [집필자] 이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