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상관(上官)

서지사항
항목명상관(上官)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사역원(司譯院), 역관(譯官), 통신사행(通信使行)
관련어군관(軍官), 별파진(別破陣), 사자관(寫字官), 상통사(上通事), 서기(書記), 압물관(押物官), 의원(醫員), 자제군관(子弟軍官), 차상통사(次上通事), 화원(畵員)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후기 통신사행 일행을 일본에서 차서(次序)에 따라 5등급으로 나눌 때 둘째 등급에 해당되는 관원.

[내용]
일본에서는 조선후기 통신사행을 접대하기 위하여 사신 일행을 편의에 따라 크게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곧 상상관(上上官)·상관(上官)·차관(次官)·중관(中官)·하관(下官)이며, 이를 사행의 노정(路程)에서 접대 및 숙박할 때의 기준으로 삼았다.

상관에는 상통사(上通事), 차상통사(次上通事), 압물관(押物官), 사자관(寫字官), 의원(醫員), 화원(畵員), 자제군관(子弟軍官), 군관(軍官), 서기(書記), 별파진(別破陣) 등이 속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실무를 담당한 역관, 시(詩)·서(書)·화(畵)·무예(武藝)에 뛰어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사행 중 대마도주나 관백(關白)의 요청에 의하여 그 기예를 과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용례]
副司果全繼信譯官司譯院判官李彦瑞副司正朴大根馳啓曰 臣等八月十七日到釜山 四更頭開船 一掛風帆 無事過海 巳時末 得到對馬島之豊崎 只有地方倭子出迎 別無待候之狀 怪而問之則對曰 曾不聞上官之來 今朝始望三帆 登時馳報于島主之處[『선조실록』 39년 9월 13일]

[참고문헌]
■ 『통문관지(通文館志)』
■ 심민경, 「조선후기 통신사 원역의 차정과 변화」,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집필자] 백옥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