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삽(翣)

서지사항
항목명삽(翣)
용어구분용어용례
상위어의장(儀仗)
하위어보삽(黼翣), 불삽(黻翣), 화삽(畵翣)
관련어흉의장(凶儀仗)
분야생활 풍속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발인할 때 상여의 앞뒤에서 들고 가는 치장 제구의 하나.

[내용]
삽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좋은 곳으로 인도해 달라는 염원을 담고 있는 치장 제구이다. 흉의장에 속하며, 그 종류에는 보삽(黼翣), 불삽(黻翣), 화삽(畵翣)이 있다.




[용례]
卽取禮記喪大記篇考之 則翣兩角戴以圭玉 綏以五色彩羽 垂於角云 古者 飾翣之制也 問于曾經山陵都監官員 則前日未見此制云 而儀註圖寫內 不畫圭玉之形 不書某色之玉 今世不用古制 明矣[『선조실록』 26년 7월 14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주희 저·임민혁 옮김,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 [집필자] 임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