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삼갑창(三甲槍)

서지사항
항목명삼갑창(三甲槍)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삼갑사(三甲射), 갑을사(甲乙射), 마창(馬槍)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기창 교전에 대비한 실전용 마상 무예의 하나.

[내용]
삼갑창은 기창 교전에 대비한 실전용 마상 무예의 하나였다. 삼갑창의 훈련 방식은 군사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겉옷 위에 색깔을 달리한 헝겊을 달아 표지를 다르게 한 후 각 그룹에서 두 명씩 모두 여섯 명의 군사들이 말을 타고 쫓고 쫓기는 상황 속에서 교전을 벌이는 방식이다. 이들은 쇠 창날 대신에 가죽으로 싼 창날이 달린 창을 사용하는데, 이를 피두창(皮頭槍)이라 하였다. 또 피두창에는 붉은 물감을 묻혀 두어 교전을 치른 후에 상대에 묻은 물감을 통해 찌른 개수를 확인하여 승부를 결정하였다. 이러한 삼갑창은 세 명이 말을 타고 서로 쫓고 좇기면서 상대를 찌르는 방식의 무예였다.

[용례]
上與中宮幸慕華館 百官及當番軍士與一應衣甲被點者 皆侍衛 又令坊里人丁分屬諸衛 御館門觀射 又擇武士習三甲射 三甲槍[『세조실록』 6년 6월 6일]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한국문화사 14), 두산동아, 2007.

■ [집필자] 강신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