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산릉에서 수도(隧道)에 회(灰)를 다져 넣고 흙을 고른 뒤에 그 위를 덮는 넓은 돌.
[내용]
사방석(四方石)은 산릉을 조성할 때에 퇴광(退壙)을 덮는 넓은 한 장의 돌이다. 조선초에는 한 장으로 된 넓은 판석을 사용하였으나, 넓은 돌을 한 장으로 켜는 것에 무리가 따랐다. 그리하여 태종 때부터는 2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던 것이 영조 때까지 이어졌다. 특히 정성왕후(貞聖王后)의 능인 홍릉(弘陵)을 조성할 때에는 영조의 명으로 사방석을 사용하지 않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