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대석(莎臺石)

서지사항
항목명사대석(莎臺石)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갑석(甲石), 만석(滿石), 면석(面石), 병풍석(屛風石), 봉분(封墳), 우석(隅石), 인석(引石)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왕릉의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 둘레에 세운 돌.

[내용]
사대석(莎臺石)은 봉분을 둘러싼 병풍석으로 알려져 있다. 왕릉의 봉분 하부를 석물로 감싸고 있어 봉분의 사토(沙土)를 구조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조선 왕릉의 사대석은 하부에 지대석을 두고, 그 위로 우석(隅石)과 면석(面石)을 가구식으로 요철을 맞추어 12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에는 갑석(甲石)과 같은 만석(滿石)을 놓고, 12면에 인석(引石)을 두어 석물이 바깥으로 배부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조선 초기에는 사대석을 사용하였으나, 세조의 능인 광릉(光陵)부터 석실과 사대석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사대석을 설치하지 않고 난간석만 가지고 봉분 주변을 감싸는 왕릉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용례]
禮曹啓 世祖大王以園陵石室有害無益 遺命勿用石室及莎臺石 今於光陵已遵遺敎 請於英陵亦依光陵制度 從之[『예종실록』 1년 1월 3일]

[참고문헌]
■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1998.
■ 김상협, 「조선왕실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집필자] 신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