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비답(批答)

서지사항
항목명비답(批答)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불윤비답(不允批答), 비(批), 하비(下批)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신하의 상소에 대한 왕의 답서(答書).

[내용]
국왕문서의 하나로 신하의 상소에 대한 왕의 대답이다. 비답(批答)은 중국의 수·당대에 출현하여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답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사직상소에 대한 불윤비답(不允批答)으로 개인 문집에 전재(轉載)된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비답은 왕이 발하는 문서로서 교서(敎書)와 같은 서식을 취하고 있고 불윤비답에서도 첫 부분은 ‘某職姓名幾度呈辭不允批答(모직성명기도정사불윤비답)’으로 시작할 뿐 그 뒷부분에 해당하는 ‘王若曰云云(왕약왈운운)’ 이하는 교서식과 동일하다. 현존하는 문서 형태의 비답은 그 수가 드물며 대체로 문집이나 연대기류 등의 문헌에 전재되어 전해지고 있다. 선조가 유성룡(柳成龍)에게 내린 불윤비답 3통은 현전하는 대표적인 비답으로 보물 제460호로 지정되어 있다.

[용례]
上曰 古者君臣上下之間 例以文辭相通 除授官爵 亦皆有敎命 辭職則必有不允批答 今則除授旣無敎書 而獨於辭職 爲不允批答 似爲未便 且均是辭職上言 而辭則無批答 上箋而辭則有批答 尤爲無據 今後大臣辭職 旣以言語親敎 則不必批答 又賜几杖 旣遣近侍文臣 宜除敎書及謝箋[『세종실록』 18년 7월 26일]

[참고문헌]
■ 최승희, 『(증보판)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1989.
■ 심재권, 「국왕문서 비답(批答)의 연구」, 『고문서연구』 32, 2008.

■ [집필자] 김경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