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부패(符牌)

서지사항
항목명부패(符牌)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마패(馬牌), 발병부(發兵符), 순패(巡牌), 호패(號牌)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마패(馬牌)·호패(號牌) 등 각종 증표를 통틀어 이르는 말.

[내용]
‘부(符)’는 할부(割符) 즉 나누어진 두 조각을 짝을 맞추어봄으로써 증명한다는 뜻이고, ‘패(牌)’는 표신(標信)을 가리킨다. 군사를 출진시키거나 성문을 출입할 때, 혹은 무역을 하거나 역참에서 공문서를 주고받을 때 증명으로 삼았으며, 재료로는 금·은·동·나무·비단·종이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지방 출장 관원에게 교부한 마패, 금군이 성문을 출입할 때 사용한 부험(符驗), 군대 동원의 표지로 쓰인 발병부(發兵符), 순장(巡將)이 순찰할 때 지니던 순패(巡牌) 등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 16세 이상의 모든 남자에게 지니게 한 호패도 부패(符牌)의 일종이었다.

[용례]
初令正二品以下受符牌者 詣闕自納 敎曰 凡於牌召 君命在牌 大小諸臣 一依親承宣諭之例 受牌可也 其不獲己違牌者 大官外使親納闕外 不爲親納者 卿宰以下重推 下大夫以下禁推[『영조실록』 17년 3월 27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