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부서(附書)

서지사항
항목명부서(附書)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표기방식(表記方式)
관련어병서(竝書), 연서(連書)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훈민정음에서 중성인 모음을 초성의 아래나 오른쪽에 붙여 쓰도록 한 표기 방식.

[개설]
부서(附書)는 글자 운용 방식의 하나로, 한 글자에서 특히 초성과 중성에 해당하는 자음과 모음의 결합 위치를 정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자들은 ‘ㆍ, ㅡ’ 계열의 모음인 ‘ㆍ, ㅡ, ㅗ, ㅜ, ㅛ, ㅠ’ 등은 초성 자음의 아래에 쓰고, ‘ㅣ’ 계열의 모음인 ‘ㅣ, ㅓ, ㅏ, ㅑ, ㅕ’ 등은 오른쪽으로 붙여 쓰도록 하여 표기상의 차별을 두었다.

[내용 및 특징]
한글이 음소 단위의 문자라는 사실은 "초성과 중성, 종성이 합쳐져 글자를 이룬다."는 『훈민정음』 「예의(例義)」의 서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서법은 이러한 글자들의 결합 방식 가운데 특히 초성과 중성의 결합에 주목한 것이다. 즉 부서는 중성 중 글자 모양이 둥글거나 가로로 쓰인 ‘ㆍ, ㅡ, ㅗ, ㅜ, ㅛ, ㅠ’ 등은 초성의 아래에 쓰이고, 글자가 세로 방향으로 된 ‘ㅣ, ㅓ, ㅏ, ㅑ, ㅕ’ 등은 초성의 오른쪽에 자리하도록 한다는 규정을 말한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영어 등 라틴어 계통의 음소 단위 문자들이 알파벳을 연이어 가로로 풀어쓰는 방식을 채택한 것과 달리, 훈민정음은 음절 단위의 모아쓰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오늘날 한글 표기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모아쓰기 방식은 한자(漢字)가 한 글자에 최대 3개의 음운을 모아서 발음한다는 ‘3운 조직설’을 정설로 여겼던 창제 당시 학자들의 통설을 수용한 결과라는 주장이 있다.

이후 근대에 접어들면서 유길준, 주시경, 김두봉 등의 학자들에 의해 한글을 풀어쓰기 방식으로 표기하자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기계화와 관련된 글자판을 만들 때의 불편함,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에 음가가 없는 ‘ㅇ’을 넣어야 하는 비효율성, 형태 음소적 표기에 따른 예외 규정들로 인해 생기는 맞춤법의 불편함 등을 이유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부서 규정에서 연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탁월한 가독성 등이 부서 방식을 바탕으로 하는 성자법(成字法)에서 비롯된 음절 단위 표기의 장점임을 고려할 때, 이는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것들이다.

[참고문헌]
■ 『훈민정음(訓民正音)』
■ 박종국, 『훈민정음』, 정음사, 1976.
■ 이기문, 『國語史硏究』(新訂版), 태학사, 1998.

■ [집필자] 최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