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봉직랑(奉直郞)

서지사항
항목명봉직랑(奉直郞)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문관(文官), 봉훈랑(奉訓郞)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문산계(文散階) 종5품의 상계(上階).

[내용]
1392년(태조 1) 7월에 관제를 제정할 때 문산계 종5품의 상계는 봉직랑(奉直郎), 하계(下階)는 봉훈랑(奉訓郞)으로 정하였다. 1456년(세조 2)에는 문·무반의 검직 제수 규정을 정하면서, 봉직랑에 제수된 지 만 4년 이상이 된 사람 가운데 나이 60세에 이르고 직무에 관련된 일을 실제로 수행한 사람에게는 종4품의 검교직을 내리고 조산대부(朝散大夫)에 제수하게 하였다. 또한 봉직랑에 제수된 지 4년 미만이라도 60세에 이른 사람은 정5품 상계인 통덕랑(通德郞)으로 승급하게 하였다.

[용례]
定文武百官之制 (중략) 正五品通德郞通善郞 從五品奉直郞奉訓郞[『태조실록』 1년 7월 28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최정환, 「조선전기 녹봉제의 정비와 그 변동」, 『경북사학』 5, 1982.

■ [집필자]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