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봉고(封庫)

서지사항
항목명봉고(封庫)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광흥창(廣興倉), 군자감(軍資監), 봉고파직(封庫罷職), 봉상시(奉常寺), 사저봉고(私儲封庫), 사헌부(司憲府), 장흥고(長興庫), 청대(請臺)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연말에 회계 감사를 받은 후 또는 비위(非違) 사실의 조사를 위해 창고를 봉하던 일.

[내용]
조선시대 각 관서는 연말에 업무를 마감하고 사헌부 감찰(監察)을 불러, 그 소속 관원과 함께 장부에 기록된 내용과 실제 물품이 같은지 확인하고, 다음 해 업무를 시작할 때까지 창고를 봉인하였다. 조선전기에는 대부분의 관서에서 행하였으나, 후기에는 군자감·광흥창·봉상시·장흥고 등 관곡(官穀)을 취급하는 관서에서만 시행하였다.

지방의 경우 수령의 부정이 적발되면 관찰사나 암행어사가 그 내용을 기록한 뒤 증거를 보존하기 위하여 창고를 봉하였다.

[용례]
政院啓曰 平壤前判官李東龍 御史旣已罷黜 移文封庫[『광해군일기』 11년 4월 3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권순철, 「조선왕조의 회계제도」, 『중악지』 2, 1992.
■ 윤근호, 「조선왕조 회계제도 연구」, 『동양학』 5, 1975.

■ [집필자] 이선희